옥테인 노드(Octane Node) : 22.Toon Ramp

728x90
반응형

이번에 알아볼 노드는 Toon Ramp라는 노드입니다.

Toon이란 단어에서 보듯이, 옥테인에서 렌더를 걸면

반실사 느낌의 렌더가 아니라 만화같은 느낌의 렌더가 나옵니다.


머테리얼 타입(Material Type)을 Toon으로 바꾸면 만화같은 렌더가 걸리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Toon탭에 가면 Toon 머테리얼에 Toon Ramp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Add Diffuse Toon Ramp와 Add Specular Toon Ramp 가 있습니다.

Add Diffuse Toon Ramp를 사용해보겠습니다.

옥테인 버그인것 같습니다만, 현재로선 저 버튼을 눌러서 노드를 연결해야 합니다.


개별적으로 Toon Ramp노드를 연결하려고 해도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이 부분은 Otoy에서 업데이트 하면서 해결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툰램프(Toon Ramp)의 컬러는 Preset을 사용했습니다.

가장 밝은 부분은 붉은색이 되고 가장 어두운 부분이 푸른색 계열로 나옵니다.


Interpolation(보간방법)의 옵션을 Constant로 바꿔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값을 볼 수 있습니다.


색 보간방법(Interpolation)을 바꾸니 색이 좀더 부드럽게 연결됩니다.

-----------------------------------------------------------------------------------------

이번에는 Add Specular Toon Ramp를 적용해보겠습니다.

만화적인 느낌의 반사를 Toon Ramp로 표현하는 겁니다.


우선 Add Specular Toon Ramp를 연결합니다.

그리고 옥테인 머테리얼 탭의 Diffuse 값에서 Value값을 제일 왼쪽으로 옮깁니다.



그 다음 Roughness의 값을 오른쪽으로 옮깁니다.

반사를 잘 받게해서 실제로 색이 어떻게 보이는지 보기 위해 옮겼습니다.


마지막으로 Specular Toon Ramp의 색은 load preset을 이용해서

색을 변경했습니다.

정상적으로 Specular Toon Ramp가 되는거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21.Instance Range

728x90
반응형

인스턴스 레인지(Instance Rang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노드 연결은 간단합니다.

대신에 인스턴스 레인지에 반응할 오브젝트를 여러개 복제해서 만들겠습니다.



만들어진 오브젝트에 옥테인 오브젝트 태그를 달아줍니다.

옥테인 오브젝트 태그의 Object layer탭에서 Instance ID의 수치를 0에서 4까지 각각 입력해줍니다.

제 개인파일 같은 경우엔 지금 구(Sphere)를 5개 복제된 상태입니다.

그리고 Instance Range노드를 Diffuse에 연결하고 노드의 Maximum ID의 수치를 올려줍니다.

 

수치가 그레이컬러로만 나오기때문에 컬러를 좀 입히겠습니다.


동그라미를 5개 만들어서 이름도 4까지 나열되어 있습니다.

옥테인 머테리얼 태그의 Instance ID의 수치값도 0,1,2,3,4로 바꿔줍니다.



컬러를 입히려고, Octane Gradient 노드를 중간에 연결했습니다.

컬러값은 Load Preset을 이용해서 색을 바꿨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20.Baking Texture

728x90
반응형

베이킹 텍스쳐(Baking Textur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aking Texture는 Displacement 를 사용할 때 Displacement 가 이미지 기반인 데이터로

작동하기 때문에 이 베이킹 텍스쳐(Baking Texture) 노드를 연결시켜줘야 합니다.



Displacement 텍스쳐에 Octane Noise를 연결해봅니다.

Displacement가 반응하지 않습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Displacement는 이미지로 인식을 해야하는데, 

Octane Noise를 이미지처럼 구워줘야해서 Baking Texture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해상도를 높여야하는 상황에도 Baking Texture, Displacement가 동일한 해상도를 사용해야 합니다.


네!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Baking Texture는 Displacement 노드가 이미지가 아닌

노드가 연결될때, 이미지화 시켜서 반응하기 위한 노드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19.Instance Color

728x90
반응형

인스턴스 컬러(Instance Col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클로너(Cloner)를 이용하거나 이미터(Emitter)를 사용할 때 사용됩니다.

이미터를 사용해서 인스턴스 칼라를 사용해보겠습니다.


옥테인 렌더를 사용하고 있고, 옥테인 렌더에서 이미터(Emitter)를 써야하기 때문에

이미터(Emitter)에 옥테인 오브젝트 태그를 달아줍니다.


옥테인 태그를 클릭해서 Particle Rendering 탭을 선택하고

Enable을 Geometry로 바꿔줍니다.

그럼 그냥 옥테인 자체 파티클이 렌더링이 되는데,

저는 제가 만든 동그라미를 옥테인 렌더에 보이고 싶기때문에 만든 구(Sphere)를

드래그해서 넣겠습니다. (사진을 참조)


이제 인스턴스 컬러(Instance Color)를 노드로 연결하겠습니다.



건드릴 옵션이 좀 많습니다.

우선 Source 부분을 Particle로 바꿉니다.

그다음으로 Color Source는 이미터(Emitter)를 드래그해서 달아줍니다.

그다음 Color Mode 는 옵션이 다양한데 Age를 사용했습니다.

컬러의 프리셋(Preset)은 원하는걸로 적용하면 됩니다.


옥테인 머테리얼 구슬을 만들고 위의 사진처럼 Diffuse에 컬러 인스턴스를 연결한 모습입니다.

이렇게 노드를 연결하고 옵션값을 만져주고,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컴퓨터 속도가 느려진다면?

●생활정보/일상 생활|2020. 12. 26. 02:00
728x90
반응형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점차 늘어나는 저장 데이터와

각종 인터넷 쿠키들과 여러가지 프로그램의 설치로 인해서

컴퓨터가 점점 느려지는 현상을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컴퓨터를 사면, 꼭 [고클린]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해 놓는데요,

저도 이 프로그램을 신문을 읽다가 알게 된 프로그램입니다.

네이버에 '고클린'이라고 검색하면 바로 나옵니다.

가벼운 프로그램이니 설치해 주시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게 됩니다.



자주 쓰는 기능은 사진에 표시된데로

하드디스크 최적화

익스플로러 최적화

액티브X 삭제

인터넷이 느려질 때 

이 4개의 기능을 자주 씁니다.


하드디스크 최적화는 컴퓨터를 사용하면 계속 누적되는

쓰레기 파일들을 삭제해서

컴퓨터를 항상 최적화해줍니다.

그리고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많이 있어도 컴퓨터는 느려집니다.

컴퓨터가 일일히 다 계산을 해야하기 때문에, 바탕화면에도

아이콘들을 정리하면 빨라지는걸 느낄 겁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