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테인 노드(Octane Node) : 35.Vertex Map

728x90
반응형

Vertex Map 노드입니다.

플레인(Plane)오브젝트를 만들고, C를 눌러서 Make Editable해줍니다.

Vertex Map 노드는 Vertex Map 태그가 있어야 사용 가능합니다.


방금 만든 Plane에 Paint Tool 을 이용해서 C4D라는 글을 적었습니다.

근데 왠일인지 옥테인 렌더에서는 반응하지 않습니다.


반응하지 않는 이유는 Vertex Map 노드에 Vertex Map 태그를 연결하지 않아서입니다.

옥테인 머테리얼은 Diffuse 머테리얼을 사용했습니다.



Vertex Map 노드를 Diffuse에 연결했습니다.

그다음에 Vertex Map 노드의  Vertex map옵션에 오브젝트 매니저창에 있는

Vertex Map Tag를 드래그 앤 드롭합니다.

페인트툴(Paint Tool)로 그림을 그렸다면 자연스레 Vertex Map Tag가 달려있을겁니다.

정상적으로 연결했다면 옥테인 렌더에서도 C4D라는 글자가 렌더되는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페인트툴을 활용해도 되며, 면을 잡고 Select 에 Set Vertex Weight를 눌러서

태그를 생성해도 동일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34.Absorption medium, Scattering medium

728x90
반응형

이번에 설명할 노드는 medium 노드입니다.

Absorption과 Scattering이 있는데, Scattering이 Absorption의 기능을 품고있어서

Absorption은 잘 사용하지 않게 됩니다.

Scattering Medium 노드를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Medium이란 용어가 붙어있어서 머테리얼에 Medium이란 곳에 연결하면 됩니다.

옥테인 머테리얼은 Specular 머테리얼을 사용했습니다.


사진에서 보듯이 Absorption Medium의 속성을 Sattering Medium이 이미 가지고 있기때문에

Absorption은 잘 사용하지 않게됩니다.

Medium노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렌더방식인 PT말고

PMC로 놓고 렌더하면 됩니다.

Medium을 가장 잘 표현해주는 방식입니다.


Scattering Medium의 Density(밀도)값을 낮춰주면

빛이 조금 더 머테리얼 안으로 파고들어가게 해줍니다.


Scattering에 Float노드를 연결해서 산란을 변경시켜보겠습니다.


Float수치값을 올릴수록 안쪽이 마치 도토리묵처럼 젤리화되어가는걸 확인할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Emission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 사용했던 Texture emission을 연결해보겠습니다.

기본 Power가 100이라서 강력하니, 수치를 10으로 낮춰서 렌더했습니다.

젤리같은 물체에서 빛이 발광하는걸 볼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33.Blackbody emission, Texture emission

728x90
반응형

발광물체를 만드는 Blackbody emission입니다.

Emission이란 용어는 3D 작업을 하다보면 빛을 내는 용도의 맵으로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Emission을 사용할 수 있는 옥테인 머테리얼은

Diffuse, Universal 2개입니다.


디스트(Disk)오브젝트를 만들어서

Blackbody emission노드를 연결해서

오브젝트라이트를 만들었습니다.

오브젝트 라이트라함은 만들어놓은 디스크(오브젝트)에

Blackbody emission노드를 연결한 머테리얼을 연결한 걸 말합니다.



Diffuse 머테리얼을 만들고

Blackbody emission노드를 emission에 연결하였습니다.

완성된 머테리얼을 디스크 오브젝트에 넣고, 오브젝트라이트가 완성되었습니다.

빛의 강도는 Power를 조절하면 됩니다.


양쪽사이드로 빛을 방출하고 싶다면,

옵션값에서 Double Sided를 체크합니다.


양쪽 사이드로 빛이 나오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


Texture emission을 알아보겠습니다.

Texture emission은 앞서 설명한 Blackbody emission에 있는

Temperature가 없습니다.

그래서 색온도를 정할 수 없기때문에 별도의 노드를 연결해서 색온도를 만들어야 합니다.

예제에선 RGB Spectrum을 연결해서 푸른색 빛이 나오는 광원으로 만들었습니다.



------------------------------

이번엔 고보(Gobo : 라이트에 무늬가 있는 필름이나 종이를 덧데어서 그림자를 만들어냄)효과를 주는

Distributio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보라 함은 실제 라이트 광원앞에 무늬가 있는 필름이나 종이를 덧데는 걸 말합니다.

영화 촬영장이나 광고에서도 활용하고 있죠


이런걸 고보라고 합니다.



라이트는 스케일이 작을수록 그림자가 선명해집니다.

반대로 스케일을 키울수록 그림자가 소프트해지죠.

Distribution에 Octane Noise를 연결했습니다.

라이트의 광원이 흰색이면 티가 잘 나지않아서, 라이트의 Temperature를

500의 수치를 주었습니다.

고보가 Octane Noise의 붉은색으로 되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렌더링을 돌리면 오브젝트라이트가 렌더화면에 나오게 됩니다.

이럴땐 머테리얼의 Opacity탭에서 값을 0으로 만들면 됩니다.


라이트는 비춰지고 있지만

오브젝트라이트는 렌더에서 사라졌습니다.

----------------------------------------------

마지막으로 IES라이트에 대해 설명하고 마치고자 합니다.

IES라이트는 이미 만들어진 인테리어용 라이트입니다.


대게 인테리어 렌더링에 많이 사용되어져서 인테리어용이란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검색엔진에 검색하면 IES라이트 이미지들이 나오게 됩니다.

해당 이미지를 다운받아 아래의 노드처럼 연결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32.Displacement

728x90
반응형

Bump, Normal에 이어서 Displacement 입니다

변위노드라고도 하는데, Bump와 Normal은 이미지의 음영을 통해서

양각과 음각을 표현해주는것이지만 Displacement는 실제의 모양을 변형시킵니다.

노드의 연결방법을 보겠습니다.



돌 텍스쳐를 인터넷에서 다운받아 연결한 모습입니다.

Image Texture 노드를 Diffuse와 Roughness에 연결했고,

Displacement노드에는 Displacement 이미지 맵을 연결했습니다.

Displacement에 이미지를 바로 연결할 수 없고, 꼭 Displacement노드를 연결해야 합니다.

 

간단하게 이번엔 Octane Noise를 Displacement에 연결해보겠습니다.

연결을 했지만 아래의 이미지처럼 변화가 없습니다.


Displacement노드도 Image만 인식하기 때문에

Image가 아닌 노드가 연결되었을때는

지난 포스팅때 설명드린, Baking Texture를 연결해줘야 합니다.



Baking Texture를 연결한 모습입니다.

노이즈의 이미지대로 Displacement가 잘 반응합니다.

이상! Displacement 노드 설명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31.UVW transform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UVW Transform노드입니다.

이미 많은 노드들을 접해봤기때문에 어! UVW Transform은 어디서 봤는데?

라고 느낄 수도 있을겁니다.

하!지!만! 엄연히 다른 노드입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하겠습니다.


별모양의 이미지를 Diffuse에 연결한 모습입니다.

플레인에 머테리얼을 적용하니 별 모양이 나옵니다.

근데! 여기서 별의 스케일을 조절하기 위해서 UV Transform 버튼을 눌러서

별도로 크기 조절을 했었죠!

그러면 발생하는 문제가 이미지에 직접적으로 크기조절을 하기 때문에 Image Texture에도

크기 조절이 되어버립니다. 즉! 원본을 건드리게 되는거죠



원본을 건드리지 않고도 크기조절 및 Transform을 할수 있는 노드가

UVW Transform 노드입니다.

원본의 이미지를 Diffuse가 아닌 Opacity 나 Bump에도 사용할 수 있는데

그럴때! 사용하기 유용합니다.


UVW Transform 노드를 사용한 모습입니다

Image Texture의 이미지는 그대로 있고 UVW Transform의 이미지 모습이 변한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UVW Transform의 Transform 버튼을 눌러서 스케일 해줍니다.

------------------------------------------

이런 특징을 이용해서 이전에 배운

Octane Gradient와 Invert도 사용해서 Opacity에 연결해보겠습니다.


위의 이미지처럼 Invert를 이용해서 투명영역의 별표를 표시해봤습니다.

그래디언트 칼라는 빨간색으로 지정했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UVW Transform은 기존 Image Texture의 트랜스폼을

변경하지 않고, 이미지 조정이 가능한 노드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