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테인 노드(Octane Node) : 14.Random Color

728x90
반응형

Random Color 노드입니다.

용어그대로 색상을 렌덤하게 뿌려주는 노드입니다.

랜덤컬러(Random Color)노드는 클로너에 연결해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사진을 참고하겠습니다.



우선 Random Color 노드를 사용하기위해

클로너에 오브젝트를 연결하겠습니다.

오브젝트의 Count는 7개로 했습니다.

그리고 클로너의 Object탭의 Instance Mode를 Render Instance로 바꿉니다.

마지막으로 노드에디터에 보이듯이, Random Color의 Seed값을 1이 아니라 하나씩 올려보세요

그럼 기본 디폴트값인 그레이컬러를 볼수 있을겁니다.



랜덤컬러(Random Color)를 적용해보겠습니다

Octane Gradient를 Random Color와 연결해서 색을 표현했습니다.

Octane Gradient의 컬러는 원하는 컬러값으로 표현해보세요.


하나더!

옥테인의 머테리얼 재질이 메탈일때!


옥테인의 재질이 메탈인 경우에는 노드가

Specular에 연결이 되어야 Random Color 가 정상적으로 작동됩니다.

이상으로 Random Color의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13.Octane Noise

728x90
반응형

이전 버젼에서는 Noise 라는 노드였습니다.

C4D 노이즈 노드와 이름이 같아서 헷갈리기 때문에

버젼이 업데이트 되면서 Octane Noise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 설명한 Marble 노드와 비슷한 성격의 노드입니다.

하지만 이 Octane Noise가 더 많이 사용되는것 같습니다.



옥테인 노이즈(Octane Noise)노드를 Diffuse에 연결하고

옥테인 노이즈의 Contrast를 많이 올려서 검정과 흰색이 선명하게

나오도록 표현했습니다.

그리고 도한 노이즈의 크기가 너무 커서 transform을 연결해서 Scale을 줄였습니다.

 

지금 Diffuse에 연결해서 저런 모습인데,

Roughness에 연결한다면 젖어있는 표면과 안젖은 표면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Roughness에 Octane Noise를 연결한 모습입니다.

Roughness가 재질의 느낌을 주는데 가장 중요한 것중 하나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12.Falloff, Marble

728x90
반응형

2개의 노드를 공부해보겠습니다.

Falloff는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프로그램에 있는 offset 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최소값과 최대값의 수치를 이용해서 색의 영역을 얼마나 떨어뜨릴지 정하는 노드입니다.



Diffuse에 연결했습니다.

Maximum Value, Minimum Value값을 조정해서 Falloff 시킵니다.

크게 어려운 노드는 아닙니다.


다음으로 Marble노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단어 그대로 대리석 느낌을 나타내는 노드입니다.

Marble 노드를 Diffuse에 연결한 모습입니다.


대리석 느낌을 좀 더 내기 위해서 Marble노드의 

Omega, Variance, Octaves의 수치를 조정하겠습니다.

우선 헷갈릴 수 있으니, 3개의 수치를 전부 왼쪽으로 슬라이더를 옮기겠습니다.


Variance만 움직여보면 대리석의 모양이 찌글거리면서 움직이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Omega와 Octaves는 각자 움직여봐도 반응이 없습니다.

Omega, Octaves두개가 같이 반응하게 되어있습니다.

두개의 수치값을 최대로 올려보고 렌더해보겠습니다.


디테일하게 대리석 재질이 살아납니다.


이번엔 Marble 노드를 Diffuse가 아닌 Bump에 연결해보겠습니다.



Bump에 연결해서 드래곤의 알이나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Marble 노드에도 Transform 과 Projection을 연결할 수 있어서

대리석 문양의 모양도 변형이 가능합니다.


여기에 Octane Gradient 노드를 이용해서 Diffuse에 연결함으로

태양을 표현해 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11.Dirt, Invert

728x90
반응형

Dirt노드와 Invert노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irt 노드는 외곽의 엣지(Edge)부분에 더러움(?)을 묻혀주거나,

페인트가 깍여져 나간 표현들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사실적인 표현을 위해 상당히 많이 쓰이는 노드입니다.


이런걸 잘 표현해주는게 Substance Painter 텍스쳐 툴이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별도로 공부해놓으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Dirt 노드와 Octane Gradient 노드를 이용해서 만든 머테리얼입니다.

Gradient 컬러는 그린과 주황색을 사용했습니다.

Dirt 노드는 엣지가 있는 부분에 효과가 나타납니다.

페인트가 벗겨진 표현이라던지, 기계의 마모 등등

위의 사진처럼 활용됩니다.


이 이미지는 Mix Material을 사용한 이미지입니다.

메탈 재질과 글로시 재질의 머테리얼을 믹스머테리얼에 연결했습니다.

그리고 Amount가 Dirt노드로 인해서 조정됩니다.



Dirt 노드 사이에 Invert 노드를 연결했습니다.

포토샵(Photoshop)에 있는 Invert 기능과 개념이 동일합니다.

Dirt 노드의 옵션에 보면 Invert Normal 이 있습니다.

Invert 노드와 비슷하지만, Dirt 노드의 Invert Normal은 별도의 옵션값을 더 만질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10.Checker

728x90
반응형

체커(Checker)노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체스바닥판과 같은 체커모양을 만들어주는 노드입니다.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겠습니다.



Checker 노드를 연결한 모습입니다.

너무 간단합니다.

자! 여기서 이전에 배웠던 Mix Material과 같이 써보겠습니다.



믹스 머테리얼과, Transform 노드, Checker 노드를 이용해서 

완성된 이미지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