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테인 노드(Octane Node) : 9. OSL Texture

728x90
반응형

저는 개인적으로 잘 활용하지 않는 노드입니다.

OSL Texture노드입니다.

무슨 뜻이냐면 Octane Shader Language 입니다.

즉! 이 노드에는 이미 프로그래밍된 텍스쳐 재질이 들어가 있다는 뜻입니다.


원래 이전 옥테인 렌더러(Octane Render) 에는 OSL Texture 노드가 1개 있었습니다.

하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OSL 노드를 카메라와 패턴, 유닛별로 카테고리를 나눠놓았습니다.

각 카테고리별로도 프리셋이 많아서 여러번 노드를 연결해봐야겠지만

앞서 적었듯이 저는 아직까진 잘 사용하는 노드가 아닙니다.



사진에 보이듯이 OST Texture 노드가 상당히 많이 있는걸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예전에는 저렇게 나뉘어져 있는 것들이 Script Presets 이란곳에 들어있었습니다.

노드 연결법은 간단합니다.

내가 나타내고픈 영역에 연결해주면 됩니다.


OST Texture 중에서도 bricks.osl 을 연결한 모습입니다.

별다른 텍스쳐링을 하지도 않았는데, 미리 프로그래밍된 노드로

간편하게 벽돌 모양을 만들었습니다.

이 노드도 잘만 사용한다면 작업 시간을 많이 줄어들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8.W Coordinate

728x90
반응형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머리카락이나 퍼재질, 털재질을 넣었을때

털의 그라디언트(Gradient)의 효과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시포디(Cinema4D)에서 Hair재질을 만들어서 Gradient색깔을 넣게 되어도

별 반응이 없습니다.

그래서 헤어재질에서 사용되는 노드가 W Coordinate라는 노드입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하겠습니다.



옥테인(octane)노드 에디터에서 W Coordinate노드를 꺼내보면

아무런 옵션이 없습니다.

응?? 이건 뭐지? 어떻게 사용하는거야? 라는 생각이 들겁니다.

이 노드는 건드릴 건 없지만 octane Gradient노드랑 사용하면 됩니다.



위의 사진처럼 옥테인 머테리얼에 Diffuse에 Octane Gradient 노드를 연결했습니다.

사진에 표시된 Load Preset을 눌러서 이미 만들어져있는

그라디언트 컬러를 눌러줍니다

(저같은 경우는 무지개색을 했습니다)


그냥 Gradient 노드만 연결하면 아무리 색깔을 조절해도 그렇게

다이나믹한 효과를 보기 어렵습니다.


그렇죠? 분명히 그라디언트 노드를 연결했는데도

머테리얼의 색깔(여기선 초록색)만 반영되어 나타납니다.

그래서 시포디에서 헤어재질을 만들었을 때, 헤어 재질의 색에

그라디언트를 표현할때! W Coordinate 노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W Coordinate노드를 사용해서 완성된 렌더 이미지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7.Float

728x90
반응형

플롯(Float)노드입니다.

'조절바' 노드라고 보면 됩니다.

슬라이더 방식으로 강약조절을 해주는 성격의 노드입니다.

어떤 머테리얼의 색깔이나 거칠기나 한번에 여러 머테리얼을 컨트롤해야될때

자주 사용되고,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임의의 머테리얼 3개를 만들었습니다.

3개의 머테리얼의 Roughness(거칠기)값을 일시에 조절하고 싶습니다.

Float 노드를 가지고 와서 Roughness에 연결했습니다.


Float노드의 슬라이더를 좌우로 움직여서 거칠기값을 한번에 컨트롤 해줄 수 있습니다.

머테리얼에 어떤 수치값을 조절해야할 때, 사용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6.Gaussian Spectrum

728x90
반응형

Gaussian Spectru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GB Spectrum은 단순히 RGB값을 조정해서 색을 바꿀수 있었지만,

Gaussian Spectrum은 좀 더 색상 값을 조절할 수 있는 옵션이 더 있습니다.

옥테인 공식 설명을 참고했습니다.



Gaussian Spectrum노드의 옵션 조절바가 총 3개 있습니다.

Wavelength는 사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색상 스펙트럼의 영역값입니다.

그리고 Width는 너비! 즉 색상 영역값에서 또 내가 컨트롤할 수 있는 영역의 너비를

별도로 잡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 인해서 Gaussian의 효과를 가져갈 수 있죠.

포토샵(photoshop)을 사용해본 분들은 아실겁니다.

Gaussian Blur라는 이펙트가 있는데 외곽 경계라인을 흐리게 처리해줍니다.

아래의 사진으로 작업을 해보았습니다.



octane material노드의 타입을 Diffuse로 했습니다.

Diffuse로 해야지 Emission노드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물론 Universal 에도 있지만, 이건 추후에 설명하겠습니다)

Emission노드를 연결했기때문에 빛이 나는 머테리얼이 되었습니다.


Octane Noise노드를 Wavelength에 걸어보았습니다.

색상의 너비를 별도로 조절이 가능한만큼 Gaussian Spectrum은 이런 재질의

효과도 줄 수 있었습니다.

물론 마스킹을 이용해서 만들수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옥테인 노드(Octane Node) : 5.RGB Spectrum

728x90
반응형

RGB Spectrum노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매우 간단한 노드입니다.

색을 변경하는 노드입니다.

실제 작업에서는 저같은 경우, RGB Spectrum노드는 잘 쓰지 않고,

Color Correction노드를 사용합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하겠습니다.



끝입니다!

정말 간단하죠?

포토샵(photoshop)의 색을 보정해주는 보정레이어와 같다고 보면 됩니다.

RGB 컬러를 diffuse에 연결했는데, 혹시 다른 곳에도 필요하다면 연결할 수 있습니다.

노드 에디터(node Editor)작업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이죠!


다음 포스팅엔 Gaussian Spectrum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